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온더페이지] 공부 잘하는 아이는 읽기머리가 다릅니다

by necia123 2025. 8. 23.
반응형

책의 주요 내용

  1. 읽기머리의 정의
    • 단순히 글자를 읽는 수준이 아니라, 문장의 구조를 파악하고 의미를 연결하며 글 전체를 이해하는 능력을 뜻합니다.
    • 국어뿐 아니라 수학 문제 풀이, 과학 개념 이해, 사회 탐구 등 모든 과목의 바탕이 됩니다.
  2. 읽기머리와 공부머리의 관계
    • 공부 잘하는 아이들은 문제를 풀기 전에 질문을 제대로 읽고, 핵심을 파악할 줄 압니다.
    • 반대로 읽기머리가 부족하면 문제의 요구사항을 놓치고, 공부 시간이 길어져도 성과가 낮을 수 있습니다.
  3. 읽기머리를 키우는 방법
    • 단순 독서가 아니라 교과 연계 독서비판적 사고 훈련이 필요합니다.
    • 아이가 스스로 문장을 해석하고, 중요한 내용을 정리하는 습관을 길러주는 것이 핵심입니다.
    • 일상에서 다양한 질문을 던지고 대화를 나누며 읽기 이해력을 키워줄 수 있습니다.
  4. 부모와 교사의 역할
    • 아이가 책을 읽을 때 단순히 다 읽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무슨 내용이었니?”, “왜 그렇게 되었을까?” 같은 질문으로 사고를 확장시켜 주어야 합니다.

 

어휘, 추론, 요약, 독해를 배우는 초등 읽기 기술

성적을 쑥쑥 올리는 초등 읽기는 어떻게 다를까요?

독서만이 정답이라 생각하는 부모을 위한 필독서

 

작가님께서는 25년차 독서교육 전문가 에요.

아이들 중에는 책을 잘 읽는 아이도 있고, 그렇지 않는 아이도 있지요.

작가님께서는 독서 교육 현장에서 보니까 글을 읽지 못하게 되는 시기가 점점 더 어려져서 초등 저학년까지 내려오고 있데요.

읽기는 정보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핵심 능력이자 학습과 문제 해결의 기초인데요.

읽기 능력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을 아우르르 언어 능력 중에 한 가지에요.

언어 능력은 가정에서 어릴 대부터 저금하듯 차곡차곡 쌓이며 발전하는 거라서 학교와 학원의 역할이 제한적인 수밖에 없어요.

아이들을 보면 잘 읽는 아이는 학원ㅇ르 많이 다니지 않는데요.

어느 과목이든 잘 이해할 수 있는 독해력을 기본적으로 찾구고 있어서 대부분 자기주도학습을 하고

학원을 최소한으로 다니거나 온라인 강의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한데요.

반면에 잘 못 읽는 아이는 예상대로 학원에 메여 산다고 하네요.

읽기 이해도가 낮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과목 성적이 부진한데, 그걸 해결하려고 학원을 많이 다니는 거래요.

그러다 보니 근간이 되는 읽기 능력을 키우는 데 시간이나 에너지를 투자하지 못해 성적은 더 떨어지고 학원에 더 의존하는 악순환을

겪을 수 박에 없다고요.

심지어 그렇게 고생해도 근본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결과도 좋지 않고요.

이 책은 초등학생의 언어 능력 중 하나인 읽기 능력을 향상하는 방법을 소개해 주는 책이에요.

아이와 삶을 함께 하는 부모가 아이의 읽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점도 강조하고 있고요.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독서를 강조하지만, 독서를 즐기는 것과 읽기를 잘하는 것은 서로 다른 개념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읽기 능력 향상법, 효과적인 독서법, 추론 능력을 키우는 방법 등을 알려 준답니다.

또 읽기 지능 진단지 및 다양한 활동지 수록, 읽기 지능을 높이 추천도서 수록되어 있어요.

반응형